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Computer Science 🖥️7

[마이크로 프로세서] 논리 회로 Contents 조합논리 회로 순서 논리회로 조합 논리 회로 반가산기 : 1자리 2진수개를 입력하여 합과 캐리를 출력하는 조합논리 회로 전가산기 : 2진수 입력, A B와 아랫자리에서 올라온 캐리를 포함하여 1자리 2진수 3개를 더하는 조합논리회로 병렬 가산기 : 전가산기 여러개를 병렬로연결하여 만든 가산기 병렬 가감산기 : 입력 하나를 부호와 XOR하여 전가산기 입력으로 사용 → 덧셈뺄셈 가능 2진 비교기 : 두 2진수 값의 크기 비교 디코더 : 입력선 n 비트의 2진코드를 최대 2^n개의 서로다른 정보로 바꿔주는 조합논리회로 대부분 NAND 게이트로 구성 대부분의 디코더는 인에이블 입력이 있음 인코더 : 디코더의 반대기능 수행 2^n → n 개 출력 멀티플렉서(MUX) 멀티플렉서(데이터 선택기)) :.. 2024. 4. 21.
[마이크로 프로세서] 데이터 표현 디지털 정보의 단위 1nibble = 4bit 1byte = 8bit 1byte = 1문자 영어는 1byte, 한글은 2byte 1워드 : CPU에서 취급하는 명령어나 데이터 길이 (8bit 의 배수임) 정수의 표현 양수를 보수로 바꾸면 음수 음수를 보수로 바꾸면 양수 2진수와 그 수의 1의 보수와의 합은 모든 bit가 1이 됨. 2진수와 그 수의 2의 보수와의 합은 모든 bit가 0이 됨. (양수 - 양수 = 0) 실수 표현 IEEE 754 표준을 따른다 부호, 지수(바이어스), 가수의 세 영역으로 표시 단정도, 배정도 두가지 표현 방법이 있음 디지털 코드 BCD코드 10진수 0 부터 9까지를 2진화 한 코드 ex) 2024. 04. 20 → 0010 0000 0010 0100. 0000 0011. 0.. 2024. 4. 20.
[마이크로 프로세서] 컴퓨터 구조, 폰 노이만, 하버드 구조 Contents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컴퓨터의 역사 폰 노이만, 비 폰 노이만, 하버드 구조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하드웨어 : CPU, 주기억 장치, 보조 기억 장치, 입출력 장치, 시스템 버스 중앙처리장치(프로세서, 마이크로프로세서) : 프로그램 실행, 데이터 처리 산술 논리 연산 장치 : 산술 연산 논리연산, 보수 연산 등등 연산 제어장치(Control Uint) : 명령어 해독, 컴퓨터의 모든 장치 제어 레지스터 : CPU 내부에 있는 임시기억 장치, 고속 액세스 가능 기억장치 주기억 장치 : 고속 액세스 가능, 휘발성 메모리, 고가임 ex) RAM 보조 기억 장치 : 비휘발성 메모리, 속도 느림, 저가 ex) ROM, SSD 입출력 장치 입력 장치 : 키보드 마우스 출력 장치 : 프린터, 스피커,.. 2024. 4. 20.
반응형